Butterfly Kiss 21

배틀로얄 (バトル.ロワイアル)

2005/04/19 19:24 도서관/외국어도서
서기 1997년, 동양의 전체주의국가, 대동아공화국...

이 나라에서는 매년, 전국의 중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임의의 50클래스를 선정, 국방상 필요한 전투시뮬레이션이라 불리우는 살인게임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있다. 게임은 클래스별로 실시되며 학생들은 지급된 무기로 서로를 죽이고 최후에 살아남은 한사람만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화로 소개가 되어 더욱 잘 알려진 "다카미 코슌(高見廣春)"원작의 <배틀로얄(バトル.ロワイアル)>은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주제와 충격적인 묘사로 일본내에서는 큰 반향을 일으킨 소설입니다. "어느 프로 레슬링 팬의 이야기"란 프롤로그로 시작되는 소설은 링 위에서 한 사람만 남을 때 까지 벌어지는 무한대전의 의미를 경쾌한 문체로 소개하며 이 후 벌어질 사투에 대한 묘한 뉘앙스를 남겨 주지요.

점심시간에 잠시 들린 회사 근처의 대형 서점 일서 코너에 진열된 책을 보고 당시에는 각종 코스프레행사장에서 <배틀로열>의 레이스 교복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던 시절이었기도 했고, 영화에서 발견하지 못한 무엇인가를 찾아낼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 덥썩 잡아 3주만에(나는 주로 출퇴근 시간에만 책을 읽기 때문에 더 이상 빨리 읽지는 못했습니다.) 완독하고, 번역원고를 만들어 한국어판 출판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했었더랬습니다.

결국 몇 달 쯤 뒤에 다른 사람에 의해 한국어판이 출간되더군요.

"다카미 코슌"은 그리 글 쓰는 재주는 없는 사람인 것 같습니다. 이단 편집의 600페이지(정확히는 기묘한 숫자 666페이지)가 넘는 장편이지만 텍스트가 거칠고 투박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있었습니다. 대신 섬세한 묘사와 강렬한 표현은 미려하지 못한 문장의 약점을 잘 갈무리 해주더군요. 마이너하지만 결코 가볍지 못한 소설이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소설에 등장하는 한반민국이란 이웃나라는 아무래도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이 소설의 무대가 가상의 세상이기에 한반민국에 대한 묘사도 실제와 다르지만서도요.

일본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대화의 단절과 세대간의 불균형을 보드게임과 이데올리기라는 가상의 그릇에 담았던 그리 유쾌하지 못한 소설 <배틀로얄>...

하지만 나에겐 오래도록 기억에 남습니다...

도서명 : バトル.ロワイアル (배틀로얄)
저 자 : 高見廣春 (다카미 코슌)
출판사 : 太田出版 (오오타출판)
ISBN : 4-87233-452-3
가격 : 1,554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5/04/19 19:24 2005/04/19 19:24
맨 위로

Il nome della rosa / 장미의 이름

2005/04/15 12:01 영화일기/DVD
요즘 "움베르토 에코"가 1980년에 발표한 소설 <장미의 이름>을 읽고 있습니다.

벌써 열번도 더 읽었던 소설이지만 읽을 때 마다 어렵기는 마찬가지더군요. 기본적으로 추리소설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14세기 유럽의 기괴한 로마 카톨릭역사에 대한 조롱과 풍자 그리고 정확한 역사에 대한 기술을 내포하고 있는 찾아 보기 힘든 수작이지요.

내가 이 책을 손에 잡게 된 계기가 된 것이 지난 '86년 국내에 공개된 "장 자끄 아노"의 영화 <장미의 이름> 덕택인데 당시 영화는 유럽에선 성공을 거두었지만 미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처참하리 마치 흥행에 실패를 했더랬습니다. 감독이 영화를 그만 둘 생각을 했을 정도로요.

6개월 전 쯤에 이 영화가 워너브라더스의 배급으로 우리나라에 DVD타이틀로 발매되었습니다. <버터플라이 디지털>의 자매 사이트(?:오늘 계약된 것 같은데... ^^;)인 <하이파이넷>의 리뷰관계로 디스크를 받게 되었고 지금도 간혹 생각날 때 마다 꺼내 보곤 합니다.

개인적으로 대단히 좋아하는 영화이고요. 완성도도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c)1986, Jean-Jacques Annaud / Constantin Film, France 3 Cinéma / The Name of the Rose

<장미의 이름>을 읽거나 보거나 할 때 마다 카톨릭과 기독교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렸을 때 <쿼 바디스>나 <벤허>같은 에픽 역사영화를 보면 로마인들은 극악무도한 이교도로 묘사되지만 실제 전세계적으로 위세를 떨치고 있는 천주교나 기독교는 모두 유대교가 아닌 로마 기독교가 아닌지요.

유대교도들을 심하게 박해한(영화에서 보면) 로마 황제가 편집한 성경과 그 내용을 가지고 찬미를 드린다는게 어찌 좀 앞뒤가 안맞는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장미의 이름>은 바티칸(역시 로마에 있습니다)이 굉장히 미워할 수 밖에 없는 소설, 영화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불손하다고 해야 하나?

원작 소설에는 이런 구절이 있더군요.

"오늘날 만큼이나 참회라는 말이 난무하던 시대도 나는 알지 못한다. 옛날에는 설교자는 물론, 주교도, 엄격주의파 수도사들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통회(痛悔)는 그런 것으로 유도해 낼 수 없는 것이라고들 믿었다."

결국 로마 기독교가 원하는 참회란 무엇일까요? 나는 아직도 알지 못하겠습니다. 내가 어리고 너무나도 무지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5/04/15 12:01 2005/04/15 12:01
맨 위로

BoA / Myname

2005/04/14 12:25 음악감상/POPS
즐겨 보는 편은 아니지만 15년 전 부터 매년 연말 NHK에서 방영되는 홍백가합전을 간혹 시청하곤 합니다.

특히 작년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 가수들이 대거 출장을 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았는데, 이렇게 이야기 하니 내가 K-POP에 무척이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의외로 가요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내가 기억하는 가요는 80년대 조용필과 송골매, 희자매 같은, 글쎄요. 요즘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Oldies is Never Goddies / 예전것은 결코 조치 않다"라는 통념으로 볼 때 고리타분하고 꽉 막힌 시대에 뒤떨어진 구닥다리 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나도 한국사람인지라 외국의 유명 프로그램에 한국 가수들이 출연한다는데 관심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요.

사실 작년 보다 제작년 홍백가합전에 BoA가 첫 출장했을 때는 깜짝 놀랐습니다. 일본에서 팔리는 외국적 가수라 함은 95년 사망한 대만의 "테레사 탱"(등려군)이나 지금은 교육학 박사가 된 홍콩 출신의 "아그네스 첸"(진미령), 그리고 80년대 절정의 인기를 구가했던 우리나라의 "계은숙" 정도로 알고 있었고 흔히들 J-POPS라고 불리우는 현대 일본 주류 가요시장에 외국적 가수가 두각을 보인 적이 없었기에 더욱 놀란 것이 아닌가 합니다.

왜냐하면 BoA는 일본 국내에서만 활동하는 기존의 외국적 가수들과는 달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대만, 홍콩 등 동남아시아 전역을 무대로 싱글과 앨범을 발매하고 있었기 때문이죠.

어제 북북춤의 명인이자 자타가 공인하는 발명왕 R군의 차를 탓는데 50대의 중후한 외모의 R군의 이미지와는 상반되게 BoA의 앨범이 꽤 많이 굴러다니더군요. 케이블 TV에서 방영되는 뮤직비디오나 CM이외에는 제대로 BoA의 노래를 들어 본적이 없어 일단 몇장을 빌렸습니다.

그 중에 작년에 발매된 4집 < Myname >을 시청해 보기로 하고 iPOD로 다운시켰습니다.

발랄한 댄스음악으로 시원한 보이스 컬러와 펑키하고 슬래쉬한 느낌이 음악감상이 아닌 음악소비의 시대에 잘 맞는 코드를 들려주는 것 같습니다. 이제 음악도 잠시 듣고 버려버리는 소모품의 시대가 온것이지요.

개인적으로는 6번 트랙 "두근두근 (Pit-A-Pat)"나 13번 트랙 "바보같죠 (Stay In Love)"가 취향에 맞더군요. 어찌되었건 우리 문화상품이 적어도 아시아권에서 각광 받고 있다는 것은 기뻐해야 할 일이 아닐런지요.

(c)2004, BoA / S.M. Entertainment / Myname

01 My Name
02 Spark
03 I Got U
04 My Prayer (기도)
05 완전한 날개 (Ond Wings-Embracing Each Other)
06 두근 두근 (Pit-A-Pit)
07 I Kiss
08 Don't Give A Damn (상관없어)
09 그럴 수 있겠지 (Maybe...Maybe Not?)
10 Etude
11 인사 (Good-Bye)
12 Feel Me
13 바보같죠 (Stay In Love)
14 We (우리) (Theme From '태극기휘날리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5/04/14 12:25 2005/04/14 12:25
맨 위로